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2, 자치주 6
현급행정구
시할구 7, 현급시 5, 25, 자치현 7, 지방설립위원회 1
시닝시
성도
西宁市
청중구
城中区
청둥구
城东区
청시구
城西区
청베이구
城北区
황중구
湟中区
황위안현
湟源县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
大通回族土族自治县
하이둥시
海东市
러두구
乐都区
핑안구
平安区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民和回族土族自治县
후주 투족 자치현
互助土族自治县
화룽 후이족 자치현
化隆回族自治县
쉰화 살라르족 자치현
循化撒拉族自治县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海北藏族自治州
하이옌현
海晏县
치롄현
祁连县
강차현
刚察县
먼위안 후이족 자치현
门源回族自治县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黄南藏族自治州
퉁런시
同仁市
젠자현
尖扎县
쩌쿠현
泽库县
허난 몽골족 자치현
河南蒙古族自治县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海南藏族自治州
궁허현
共和县
퉁더현
同德县
구이더현
贵德县
싱하이현
兴海县
구이난현
贵南县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果洛藏族自治州
마친현
玛沁县
반마현
班玛县
간더현
甘德县
다르현
达日县
주즈현
久治县
마둬현
玛多县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玉树藏族自治州
위수시
玉树市
짜둬현
杂多县
청둬현
称多县
즈둬현
治多县
낭첸현
囊谦县
취마라이현
曲麻莱县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海西蒙古族藏族自治州
더링하시
德令哈市
거얼무시
格尔木市
망야시
茫崖市
우란현
乌兰县
두란현
都兰县
톈쥔현
天峻县
다차이단 행정위원회
大柴旦行政委员会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
칭하이성 지방정부 자체 설립 행정관리구
(중국 민정부 편제 외 행정구)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성의 자치주
海北(Hǎiběi藏族(Zàngzú自治州(Zìzhìzhōu
མཚོ་བྱང་བོད་རིགས་རང་སྐྱོང་ཁུལ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Haibei Tibetan Autonomous Prefecture
시정부 소재지칭하이성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하이옌현 퉁바오루4호
青海省海北藏族自治州海晏县同宝路4号
지역시베이
면적33,349.99km²
하위 행정구역4현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265,322명 (2020)
인구밀도8명/km²
민족 구성한족 35.88% | 회족 31.52%
티베트인 24.36% | 몽골족 5.00%
서기도르제(多杰)(티베트인)
주장샤우제(多杰)(티베트인)
GRDP전체$15억 2,300만 (2015)
1인당$5,479 (2015)
상징주화없음
주목없음
차량번호青C
행정구역 약칭海北
행정구역코드632200
지역전화번호0970
우편번호812200
ISO 3166-2CN-QH-22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교통
4. 여담



1. 개요[편집]


중국 칭하이성의 자치주. 서쪽으로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와, 남쪽으로 시닝시, 하이둥시,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와, 북쪽으로 간쑤성과 접한다.

지명은 칭하이호 북쪽에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2. 역사[편집]


강족이 거주하던 땅이었으며, 한나라 대에 해안현(海晏县)을 설치하고 통치하였던 곳이다. 해당 행정구역은 오호십육국시대 남량 대 까지 통치되다가 잠시동안 토욕혼이 통치, 수나라가 다시 정벌하고 서해군(西海郡)을 이 지역에 설치한다.

당나라 대에는 미천현(米川县)이 있었다가 토번 제국에게 점령되며, 원나라 대에 다시 중국에 편입되었다. 명나라는 이 곳에 안정위(安定卫)와 아서위(阿瑞卫), 대통위(大通卫)를 설치하였고, 해당 행정구역들은 건륭제 대에 현으로 전부 교체된다.

중화민국 대에는 먼위안현(亹源县), 치롄설치국(祁连设治局), 하이옌설치국(海晏设治局) 등이 이 지역에 설치되었으며, 이들은 일괄 1953년에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구(海北藏族自治区)가 되었다가 1955년에 자치주로 변경된다.

3. 교통[편집]


관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철도역과 노선이 있다.
  • 하이옌역(海晏站): 칭짱철도(青藏铁路)[1]

공항은 없다.

4. 여담[편집]


하이베이 관내 하이옌현에는 중국 최초의 핵개발 기지 터가 있다. 해당 지역은 관광지화되었으며, 현재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5:39:37에 나무위키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이옌역부터 냐오다오역 까지